트랜잭션로그 아키텍처를 공부하면서 헷갈렸던 개념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 논리 로그 (logical log)
https://technet.microsoft.com/ko-kr/library/ms180892(v=sql.105).aspx
- 각 로그 레코드는 LSN (Log Sequence Num)으로 식별됨
- 각 새 로그레코드는 LSN과 함께 로그의 논리적 끝에 작성
- 로그레코드는 작성된 순서대로 저장됨
- 각 로그레코드에는 자신이 속한 TRN(트랜잭션)의 ID가 포함됨.
(즉! 로그 레코드 하나당 하나의 트랜잭션이 아님. 트랜잭션이 여러 로그 레코드들로 이루어져 있음.)
- 각 트랜잭션의 모든 로그레코드는 후방 포인터로 체인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음.
'Database > MS-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그레코드, 논리 로그, 트랜잭션 로그, 로그잘림 (0) | 2017.11.23 |
---|---|
SQL Server 트랜잭션 로그 아키텍처 및 관리 (0) | 2017.11.23 |
[스크랩] MSSQL VLF 관련 내용 (0) | 2017.11.16 |
[스크랩] 로그백업 수행해도 log_reuse_wait_desc 값이 LOG_BACKUP인 이유 (0) | 2017.11.16 |
[스크랩] Don't Shrink your LDF file!! (0) | 2017.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