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MS-SQL

1일차

99iberty 2014. 10. 27. 11:26

 

로컬 프로토콜 : 다른 시스템과 공유될 수 없는, 네트워크를 탈 수 없는 프로토콜
 공유메모리 (관리 목적)
네트워크 프로토콜 : 다른 시스템과 커뮤니케이션 가능한 프로토콜
 TCP/IP, 명명된 파이프


server 서비스 : 타 네트워크에서 내 자원을 사용하려고 요청하면 사용하도록 해주는
workstation 서비스 : ?


서비스는 서비스 계정의 바운더리에서 실행되므로,
서비스 계정이 로컬 사용자 계정이면 다른 시스템의 자원에 access할 수 없다.
sql server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계정을 만들어서 서비스를 실행시키는 것이 기본.
-> 어떤 수준의 권한? : 아무 권한 주지 않아도 됨.
얘를 서비스 계정으로 지정하는 순간 운영에 필요한 권한을 받게 됨.
외부에 있는 리소스를 access할 때는 충분한 권한이 없게 됨.


가상머신 패스워드 : P@ssw0rd


** SQL Server 설치
서비스 계정 생성하기  : SQLService
SQL Server 관리자      : SQLAdmin


계획-업그레이드 관리자 : 업그레이드 관리자를 통해 문제 있는 부분 확인 후 관리자가 해당 내용 수정해야 함.
수정 다 하고 나면 설치프로그램으로 업그레이드
-> 설치 탭 -> SQL Server 2000, SQL Server 2005 에서 업그레이드하기


설치폴더 신규로 미리 수동으로 만들어 놓고 지정하기
 SQLServer Data
  Log
  TempDB
  Backup

 

언제 윈도우 계정 쓰고 언제 혼합모드 쓰느냐?
-> 회사의 네트워크내 계정이 모두 윈도우 운영체제(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 현실적으로 불가능..
관리자 입장에서는 모든 사용자들이 OS에 등록되서 관리되므로 편함........?
사용자 입장에서는 OS에서 한번 인증 받으면 별도로 할 필요없어 베리땡큐


sql 서버에 연결되는 클라이언트들이 다른 OS 유저일 경우..
연결할 부분 제공하기 위해서 sql server 계정 만들어야 함.

 

운영체제가 뚫리면 DB도 뚫리게 되서 OS관리자 계정과  SQL서버 관리자 계정 분리시키는 것이 권장사항이다.

 

'Database > MS-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장 - 1일차  (0) 2014.10.27
01장 - 1일차  (0) 2014.10.27
[스크랩] common criteria compliance enabled 서버 구성 옵션  (0) 2014.10.24
[스크랩] Auditing in SQL Server 2008  (0) 2014.10.24
[스크랩] C2 audit mode 옵션 관련  (0) 2014.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