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X/Redhat

12/08/27 1

99iberty 2012. 8. 27. 12:36


1장 소프트웨어 관리


  1. RHN에 등록
    • 터미널에서 rhn_register 입력 / GUI에서 system > Administration > RHN Registration 선택
  2. YUM 사용
    • yum history list
    • yum provides "*bin/semanage"
      •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가 안될 때 저걸로 확인. 특정 패키지 명령어 안될 때. 명령어는 대부분 bin 아래 있으므로 그 패키지를 제공해주는 정보가 나열된다.
    • yum list available : 가능한 패키지 리스트 나열
    • yum list installed : 설치된 패키지 리스트 나열
    • yum search KEYWORD는 키워드로 검색한 패키지 목록 표시 (설치되었든 아니든 상관없이 인가?)
    • yum repolist : 윰이 참고하는 repository 내용 보여준다.
    • /etc/yum.repos.d/updates.repo 파일을 만들어 instructor 시스템에 있는 "Updates" 레포지토리를 활성화한다.
[root@server4 ~]# cat /etc/yum.repos.d/updates.repo
[Errata]
name=Redhat Server Errata Repository
baseurl=ftp://instructor.example.com/pub/rhel6/Errata
gpgcheck=1
gpgkey=file:///etc/pki/rpm-gpg/RPM-GPG-KEY-redhat-release

  1. RPM
    1. cd /net/instructor 처음에 하면 자동완성 안되는데 걍 엔터치면 생긴다. nfs 관련 내용 배울 때 자세한 내용 배운다.














'UNIX > Redhat'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08/27 3장 저장 장치 관리  (0) 2012.08.27
12/08/27 2장 네트워크 관리  (0) 2012.08.27
Yum Repository Build for RHEL  (0) 2012.08.27
Linux 학습, 기초 과정: RPM 및 YUM 패키지 관리  (0) 2012.07.26
RPM이란?  (0) 2012.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