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이라는 명령어로 리눅스를 모니터링하다보면
VIRT 와 RES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man top 에서 확인해 보니
VIRT -- Virtual Image (kb)
The total amount of virtual memory used by the task. It includes all code, data and shared libraries plus pages that have been swapped out. (Note: you can define the STATSIZE=1 environment variable and the VIRT will be calculated from the /proc/#/state VmSize field.)
VIRT = SWAP + RES.
RES -- Resident size (kb)
The non-swapped physical memory a task has used.
RES = CODE + DATA.
요렇게 나온다.
결론적으로 해당 프로세스에서 물리적인 메모리를 사용하는 크기는 RES 이며,
SWAP 영역에서 사용하는 메모리 + shared + swapped를 합친것이 VIRT 다.
따라서 VIRT 값과 RES 값의 차이가 크다는 이야기는 SWAP 을 쓸 확률이 높다는 의미 인 것으로 보인다. 자바에서는 Shared 메모리의 크기가 그리 크지 않으므로, 만약 VIRT 만 크다면 SWAP 확인해 보고, 애플리케이션에서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를 잘 째려봐야 할 듯 하다.
어떻게 째려 봐야 할지는 좀 고민 해봐야 할 듯~~~
'UNIX > 유닉스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iso 파일 마운트 하는 방법 (0) | 2014.02.09 |
---|---|
[스크랩] 리눅스 표준 출력 및 에러 재지향 (출력과 저장을 동시에, tee) (0) | 2014.01.29 |
[스크랩] 솔라리스 마운트 (0) | 2013.12.10 |
소스코드 컴파일 (0) | 2013.11.29 |
ssh keygen 에 대한 내용 (0) | 2013.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