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fstab에 파일시스템 항목을 저장해 놓으면 부팅할 때 파일시스템을 자동으로 마운트한다.
각 행의 형식은 다음과 같다.
device mount-point type options
여기서 device, mount-point, type은 mount 명령과 같은 의미를 가지며, options는 mount에서 -o 스위치 다음에 적는 옵션을 콤마(,)로 분리하여 적은 목록이다.
예제)
mount(8) 매뉴얼 페이지를 보면 options에 적을 수 있는 값을 알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옵션을 적으려고 할 때는 빈 공간 없이 콤마로 구분하여 나열한다.
부팅할 대에 /etc/rc.d 에 있는 스크립트 중 rc.sysinit와 같은 스크립트에서 실행된다.
이렇게 /etc/fstab에 나열된 모든 파일시스템은 시동과 함께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예외가 있는데 바로 루트 파일 시스템이다.
/에 마운트되는 루트 파일시스템은 /etc/fstab 뿐만 아니라 /etc/rc.d 의 스크립트를 포함하는 파일시스템이다.
이 스크립트를 사용하려면 커널은 부팅 중에 직접 루트 파일시스템을 마운트한다.
마운트옵션에는 디폴트 등등이 있는데
defaults : rw, nouser (루트권한으로만 마운트하라), auto, exec
다섯번째 숫자필드는 fsck여부.
일반적인 파일시스템은 fsck 하기 위해 1 해야하고.
대표적으로 스왑은 할 필요 없으므로 0
여섯번째 숫자필드는 dump 가능여부.
0 : 불가
1 : 루트파일시스템 (부트?)
2 : 일반파일시스템
'UNIX > 유닉스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c 파일시스템 (0) | 2012.07.24 |
---|---|
리눅스 free 명령어 (0) | 2012.07.23 |
하드디스크 장치명 (0) | 2012.07.19 |
LVM 상세내용 - 구성시 사용하는 명령어들에 대한 옵션 내용 포함 (0) | 2012.07.19 |
LVM 상세내용 - 구성요소 및 개념도 (0) | 2012.07.19 |